노드(2)
-
jwt token 생성 및 검증
JWT토큰? jwt토큰(JSON WEB TOKEN)은 주로 로그인 정보를 유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서버에서 필요한 데이터들을 토큰화 시킨 뒤 클라이언트에 전달하면 클라이언트에선 원하는 위치에 해당 토큰을 저장하고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할 때 토큰을 같이 전달한다. 이 이유는 안전한 사용자인지를 토큰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1. 사용자가 로그인을 한 뒤 토큰을 발행한다 2. 이를 저장한다. 3. 매 데이터 요청마다 토큰을 함께 전달하여 검증한 뒤 응답한다. jsonwebtoken을 사용해야 하니 다운 받는다. npm i jsonwebtoken 토큰을 생성하는 방법은 jwt.sign({private claim},{secretkey},{public claim}) private claim - (key:..
2021.08.17 -
동기,비동기
동기란? Synchronous 요청을 하면 다른 작업을 진행하지 않고 응답이 올때까지 기다린다. 비동기란? Asynchronous 요청을 하고 응답이 올때까지 다른 작업을 진행한다. 응답이 오면 관련된 작업을 그때 한다. 비동기를 사용하는 이유? 웹사이트에 모든 작업들이 전부 동기적으로 진행된다면 어떨까 처음부터 끝까지 코드들이 실행되면서 중간에 오래 걸리는 작업이 껴있다면 사용자는 그 웹사이트의 끝을 보려면 한참을 기다려야 할 것이다. 작업에 따라 비동기로 요청을 진행하면 보다 더 효율적으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비동기를 사용하면서 SyntaxError: await is only valid in async function 이 에러를 볼때마다 피곤해졌다. 쓰는 방법을 모르고 여기저기다가 a..
2021.08.10